숙취해소와 간건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는 헛개나무에요,,,
끓여서 결명자차처럼 붉은색이 나올때까지 끓여서
따뜻하게 드시면 탁월한 효과가 있다네요,,,,,,,,,,,,,
울 아버지 헛개나무 자르고 계세요,,,
오늘부터 보리차 마시듯 아버지랑 저랑 둘이 마시고 마심다요,,
생강차에,,헛개나무물에,,
아마도 아버지랑 저랑 오래 오래 건강하게 살거 가토요,,그츄?
헛개나무는 끓여서 그냥 두면 금방 상합니다,,
가능하면 냉장보관 하시고요,,
먹을만큼만 끓이세요,,,,,
울집뒤에 헛개나무도 있고요,,오가피 나무도 있고요,,
오늘은 아버지가 헛개나무를 정리하고 계십니다,,,
한국에서는 중부 이남의 해발 50~800m에서 자라며 일본·중국 등지에도 분포한다.
키는 7~15m, 지름은 30~40m 정도로 자라며
수피(樹皮)는 회색이 도는 갈색을 띤다.
겨울눈[冬芽]은 2개의 비늘조각[芽鱗]으로 싸여 있으며 털이 있다.
넓은 난형(卵形)의 잎은 어긋나는데
기부는 둥글고 길이는 8~15cm, 너비는 6~12cm이다.
잎에는 3개의 큰 맥이 발달해 있고,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녹색의 꽃은 크기가 7㎜ 정도로
6~7월에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어 무리져 피며,
꽃잎과 꽃받침이 각각 5장이고 수술과 암술이 있는 양성화이다.
열매는 각각 1개의 씨가 들어 있는
3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고 갈색을 띠며 윤기가 있다.
열매줄기는 불규칙하게 가지를 치며
울퉁불퉁한데 달콤한 맛이 나며 먹을 수 있다.
목재는 건축재·악기재·조각재 등으로 다양하게 쓰이고
열매줄기는 단맛이 있어 과일주를 담그기도 한다.
열매줄기와 씨는 주독(酒毒)과 진토(鎭吐)에 약용으로 쓰인다.
주요사항 | |
헛개나무는 갈매나무과에 딸린 낙엽큰키나무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키는 15미터, 지름 1미터까지 자라는데 잎은 산뽕나무와 닮았다. 꽃은 6∼7월에 피어 10∼11월에 열매가 익는다. 열매의 모양이 특이하여 마치 닭의 발가락이나 산호처럼 생겼다. 열매는 단맛이 나고 씨앗은 멧대추 씨와 비슷하다. 백석목 헛개나무, 목산호, 현포리(玄匍梨) 등의 여러 이름이 있다 |
술독 푸는데 불가사의한 약효 술은 백 가지 약 가운데 으뜸인 동시에 백 가지 독 가운데 으뜸이기도 하다. 술은 기분을 좋게 하고 혈맥을 통하게 하는 데는 좋으나 통증을 일으키며 오장을 상하게 하는 데는 이보다 더 나쁜 것이 없다술을 지나치게 마셔 중독된 것을 치료하려면 헛개나무 줄기 썬 것 1냥(35그램)을 큰 잔으로 물 한 잔에 넣고 절반이 되게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그 효력의 빠르기가 번개와 같다.” 헛개나무는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대장, 위, 뇌 등 온갖 장 부위가 망가졌을 때 큰 효험이 있다. 무릇 술은 예부터 중요한 예식에만 써 왔다. 제사를 지낼 때, 손님과 친척이 모일 때, 약을 만들 때에만 쓰였다. 술은 쓸 때가 있고 먹는 데는 한도가 있는 법이다.그런데 사람들은 술을 절제하지 못하고 함부로 마시고 함부로 취한다. 술을 함부로 마시는 까닭에 간장과 신장과 위장과 대장이 나빠진다. 또한 머리가 혼탁해지며 심하면 알코올 중독이 되어 패가망신하기도 한다. 알코올 중독이나 술을 많이 마셔 간장·위장·대장 등이 나빠진 것을 치료하는 약은 그다지 많지 않다. 예로부터 칡꽃, 팥꽃, 쥐눈이콩, 뽕잎, 오디, 팥, 녹두, 창포 등이 술독을 푸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는 신통하지 않다. 술을 많이 마셔서 간장과 대장이 망가진 것을 치료하고 술독을 푸는 데는 헛개나무가 으뜸이다. |
'**봄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장 ,,된장,,고추짱아찌,,, (0) | 2012.01.10 |
---|---|
오늘 아침 울 아버지 아침 식단임다,, (0) | 2012.01.10 |
박대 조림 (0) | 2011.12.10 |
멸치 간장 볶음(내가 만드는 요리) (0) | 2011.12.07 |
고추장 멸치 볶음(내가 만드는 음식) (0) | 2011.12.07 |